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아는기자 정치부 김민지 차장과 함께 선대위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선대위 구성 자체가 선거 전략이죠. <br><br>네. 여야 그야말로 총동원령이 내려졌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의 컨셉은 미래, 민주당의 컨셉은 통합인데요. <br><br>한동훈 위원장, 어제 채널A에 밝힌 출사표도 미래 선거였죠. <br><br>'윤석열 정권심판론' 프레임을 깨고 나경원, 안철수, 원희룡 등 차기 대선 주자들을 함께 내세워 미래 대안세력을 강조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특히 각자의 출마지인 서울,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을 이끌도록 하겠다는 거죠. <br><br>반면 민주당의 컨셉은 '통합'입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김부겸 총리까지 끌어들였죠. <br><br>김 전 총리는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선대위로 끌어들이려고 노력 중입니다. <br> <br>'비명횡사' 논란이 인 공천 갈등을 극복하겠다는 거죠. <br> <br>Q. 생각나는 사람은 다 끌어들인 거에요? 한동훈 이재명만으로는 어렵다고 보나 보죠? <br><br>네. 한 위원장 지난해 말 서울 강서구청장 패배 이후 침체된 당 지지율 많이 끌어올렸죠. <br><br>하지만, 최근 민주당, 개혁신당, 새로운 미래에 조국혁신당 까지 범야권이 정권 심판론으로 몰아세우며 포위된 형국에서, 플러스알파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게다가 당내 메신저가 본인밖에 없다 보니 많은 이슈를 혼자 받아치는 게 쉽진 않죠. <br><br>새로운 얼굴들을 내세워 다시 전열을 보강하는 전략입니다. <br><br>이재명 대표는, 무엇보다 재판이 계속되고 있고, 또 인천 계양을 지역구도 챙겨야죠. <br><br>한 위원장과는 다르게 발이 묶인다는 한계가 있었는데 대신 전국을 다닐 인물들을 다 투입한다는 거죠. <br><br>지역마다 친명 비명, 여러 명의 지역 선대위원장도 뒀습니다. <br> <br>Q. 선대위 출범 동시에 띄운 건데, 이게 중요한 시기죠. <br><br>자, 여야 이야기 들어보면 지금부터 보름이 이번 선거를 좌우한다고 합니다. <br><br>외연 확장, 즉 중도층의 마음을 얻어야 할 시기라는 거죠. <br><br>선거에는 크게 세 가지 국면이 있는데요. <br> <br>여야 모두 이제 공천은 일단락됐고 오는 28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지지층을 투표장을 끌어내야 합니다. <br><br>그 사이 중간의 이 시기에는 중도층을 공략할 수 있는 유일한 시기입니다. <br><br>여야 의견 들어보면 아직 표심을 정하지 않은 중도층이 20% 정도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Q. 이번 선거, 결과가 예측이 안 될 만큼 박빙일 거라는 전망도 나오죠. <br><br>네. 곳곳 판세가 초접전인데요. <br> <br>서울 중성동갑 윤희숙 전현희 후보 오차범위 내에 있고요. <br><br>경기 분당갑 안철수 이광재 후보, 마찬가지로 접전. <br><br>서울 광진을 고민정 오신환 후보도 역시 오차범위 내에 있습니다. <br><br>Q. 대표들, 마음이 바빠지겠는데요. 중도층 표심 어떻게 얻어요? <br><br>이번 주부터 여야 대표는 무조건 현장에서 뜁니다. <br> <br>한동훈 위원장, 오늘 서울 갔죠. 남은 이번 주부산, 경남 김해, 전남, 광주, 전북, 경기 등 영호남 전국을 돕니다. <br> <br>이재명 대표는 심지어 오늘 재판이 있었는데 중간 중간에 짬이 나는 대로 현장 지원을 했는데요.<br><br>서울 동작구, 인천 등지에서 후보들을 만나고 라이브 방송도 했습니다. <br><br>이렇게 발품도 팔아야 하지만 까딱 잘못하면 모든 노력이 물거품 되는 게 있죠. <br><br>바로 말실수인데요.<br><br>특히 중도층에서 말실수는 치명타입니다. <br><br>그래서 선대위를 오늘 띄운 거죠. <br><br>후보가 지역을 도는 사이 선대위 상황실에서는 돌발 상황에 즉각 대응하는 24시간 선거전에 사실상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ichannela.com